발효과학
전통 발효식품의 항산화력, 과학이 밝힌 비밀
땅무니25
2025. 8. 18. 23:29
📄 전통 발효식품의 항산화 효능은 다수의 학술 논문에서 검증되었습니다.
- 청국장은 빠른 발효를 통해 항산화력 강화가 뚜렷한 대표 식품
- 김치는 항산화뿐 아니라 항염증, 면역조절 등 다차원적인 건강 효과 입증.
- 된장, 고추장 등 장류도 미생물 발효를 통한 항산화 성분 생성에 기여.
청국장, 된장, 김치, 고추장 등 각각의 발효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작용과 항산화 물질 증가가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청국장(Chongkukjang)의 항산화 강화
빠르게 발효되는 청국장에는 폴리페놀류, 이소플라본 아글리콘, 그리고 총 페놀 함량(TPC)이 크게 증가합니다.
- Bacillus subtilis 균주 농도별 실험에서, 1% 고초균을 이용한 청국장이 가장 높은 TPC(5.99 mg/g)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DPPH·ABTS 라디컬 소거율도 각각 94.24%, 86.03%로 뛰어났습니다 PubMed. .
- 다른 연구에서는 검은콩 품종별 청국장에서 FRAP(환원력)과 DPPH/ABTS 소거력이 비발효 콩보다 최대 1.5배 증가했으며, 이는 β-글루코사이드가 효소 작용으로 아글리콘 이소플라본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E-SC .
→ 요약하면, 청국장은 발효 과정에서 미생물의 생화학적 작용 덕분에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집니다.
된장, 🌶️ 고추장, 간장, 🥬 김치 등 전통 장류의 항산화 효과
많은 연구들이 한국 전통 장류의 항산화 효과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 된장은 항암·항돌연변이·항산화 활성을, 간장은 항산화 잠재력, 고추장은 항산화 기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PMCEurope PMC.
- 김치는 발효된 배추로 만들어져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페놀 화합물 등이 강화되며, 이는 활성산소 제거 및 세포 손상 억제에 효과적입니다 PMCResearchGate.
실제 김치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는
- 천일염을 사용한 김치에서 NO 생산 억제,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 감소 실험 ResearchGate
로 입증되었습니다.
🫘 청국장 (Cheonggukjang)
- 주요 성분: 이소플라본 아글리콘, 총 페놀 화합물, 나토키나제
- 항산화 효과: 혈전 억제, 노화 방지, 심혈관 보호
- 연구 사례: Bacillus subtilis 발효로 항산화 활성이 크게 증가하며, ABTS·DPPH 소거능이 우수함
된장 (Doenjang)
- 주요 성분: 플라보노이드, 펩타이드, 아미노산
-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억제, 항암·항돌연변이 효능
- 연구 사례: 장기간 숙성 과정에서 항산화 성분이 농축되며, 장 건강 증진과 연관
🌶️ 고추장 (Gochujang)
- 주요 성분: 고추 속 캡사이신, 발효 중 생성된 폴리페놀
- 항산화 효과: 혈중 지질 개선, 활성산소 억제, 면역력 증진
- 연구 사례: 발효된 고추장은 비발효된 고추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음
🍶 간장 (Soy Sauce)
- 주요 성분: 멜라노이딘, 페놀 화합물, 아미노산
- 항산화 효과: 자유라디칼 소거, 항염 작용, 세포 보호
- 연구 사례: 간장은 발효·숙성 과정에서 생성되는 멜라노이딘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발휘
🥬 김치 (Kimchi)
- 주요 성분: 비타민 C, 베타카로틴, 페놀 화합물
- 항산화 효과: 활성산소 제거, 염증 억제, 세포 손상 보호
- 연구 사례: 발효 단계별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며, 면역 조절 효과까지 보고됨
청국장, 된장, 고추장/간장, 김치의 항산화 효능 비교 요약
청국장 | B. subtilis에 의한 아글리콘 이소플라본, 페놀 화합물 증가로 항산화 활성 강화. |
---|---|
된장 | 곰팡이와 유익균 복합 발효를 통한 플라브노이드, 생리활성 펩타이드 생성. |
고추장/간장 | 발효 중 생성되는 항산화성 폴리페놀, 비타민 및 항산화 효능 입증. |
김치 | 비타민·커런트 기반 항산화물, 염증 억제 효과, 유산균 기반 항산화 활성. |
이처럼 전통 발효식품은 단순한 저장 음식이 아니라, 활성산소와 염증을 억제하는 건강 파트너입니다.
특히 항산화 중심의 건강 트렌드와 기능성 식품 시장을 고려하면, 이들 식품은 현대적 가치가 매우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