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

김치 미생물과 암 예방: 과학적 연구 중심 정리

과학적인 근거 중심으로 설명드리며, 특히 김치를 통한 암 예방 효과에 대해 다각도로 보실 수 있습니다. 1. 김치 섭취와 결장암 예방: 전임상 모델 연구 염증성 장암(colitis-associated cancer) 예방한 연구에서는 발효 김치 섭취가 대장염과 장암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생쥐 실험을 통해 밝혔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비발효 김치에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특수 레시피의 ‘암 예방 김치(cpkimchi)’가 일반 김치보다 더 강력한 예방 효과를 보였습니다. 기전으로는 IL-1β, IL-18 등의 염증성 경로 억제, 항산화 효소(NQO1, GST-π) 활성화, 반응 조절 단백질(HSP70, 15-PGDH) 증가 등이 작용했습니다. 그리고 NF-κB 억제, ERK1/2비활성화 ..

발효과학 2025.08.19

전통 발효식품의 항산화력, 과학이 밝힌 비밀

📄 전통 발효식품의 항산화 효능은 다수의 학술 논문에서 검증되었습니다.청국장은 빠른 발효를 통해 항산화력 강화가 뚜렷한 대표 식품김치는 항산화뿐 아니라 항염증, 면역조절 등 다차원적인 건강 효과 입증.된장, 고추장 등 장류도 미생물 발효를 통한 항산화 성분 생성에 기여. 청국장, 된장, 김치, 고추장 등 각각의 발효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생물 작용과 항산화 물질 증가가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청국장(Chongkukjang)의 항산화 강화 빠르게 발효되는 청국장에는 폴리페놀류, 이소플라본 아글리콘, 그리고 총 페놀 함량(TPC)이 크게 증가합니다.Bacillus subtilis 균주 농도별 실험에서, 1% 고초균을 이용한 청국장이 가장 높은 TPC(5.99 mg/g)와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DP..

발효과학 2025.08.18

전통 발효식품 미생물, 면역력과 어떤 관계일까?

인체의 면역 체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 바이러스, 독성 물질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방어 시스템입니다.그런데 면역 세포의 약 70%가 장 점막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매우 의미심장합니다. 이는 곧 장내 환경과 미생물의 균형이곧 면역력의 기초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면역 체계와 장내 미생물의 연결고리 장내 미생물이 건강하면 면역 시스템도 균형을 이루어 알레르기, 감염, 염증성 질환 발생을 막아줍니다.반대로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면역 과민반응이나 면역 저하를 유발하여 질병에 취약하게 만듭니다.이 과정에서 전통 발효식품 속 미생물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김치, 된장, 청국장 등은 발효 과정에서 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 곰팡이 등 다양한 유익 미생물을 형성합니다. 이 미생물들이 인체에 섭취되면 장내에..

발효과학 2025.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