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치 유산균은 체내 면역세포의 활성도를 높이고, 염증 반응을 조절하며, 장-면역 축을 통해 전신 면역력을 강화하는 핵심 역할을 한다. 김치 유산균과 면역세포의 상호작용 김치는 한국 전통 발효식품으로, 다양한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을 풍부하게 함유한다. 이러한 유산균은 체내로 들어가면 단순히 장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장 점막 면역세포와 직접 상호작용한다. 장 점막에는 인체 면역의 약 70%가 집중되어 있으며, 유산균은 점막 표면의 수지상세포와 접촉해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김치 유산균은 항원 제시 세포의 성숙을 돕고, 체내에서 T세포와 B세포의 분화를 촉진한다. 특히 B세포가 항체를 생성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