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발효식품의 정의와 미생물의 중요성
전통 발효식품은 식재료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미생물의 작용을 받아 화학적·생물학적으로 변화한 음식이다. 미생물의 작용으로 인해 전통 발효식품은 건강을 향상시키는 식품이 된다.
한국에서는 김치, 된장, 간장, 청국장, 막걸리, 젓갈 등이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발효의 핵심은 미생물인데,
이들은 원재료 속 당, 단백질, 지방을 분해하여 새로운 맛과 향을 만들어낸다.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젖산, 알코올, 유기산,
향기 화합물은 식품의 풍미를 높이고 부패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김치의 경우, 초기에는 류코노스톡(Leuconostoc)이 배추 속 당분을 분해하며 가스를 발생시켜 아삭한 식감을 유지하게 한다. 시간이 지나면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가 주도하며 젖산을 생성, 김치의 산미와 보존성을 높인다. 된장과 청국장은 각각 곰팡이와 바실러스균이 중심이 되어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바꾸어 감칠맛을 강화한다. 이러한 미생물의 작용 덕분에 전통 발효식품은 단순한 영양 공급원을 넘어, 인체 건강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식품으로 평가받는다.
발효 과정의 과학과 미생물 군집 변화
발효 과정은 단순히 한 종류의 미생물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복잡한 미생물 군집이 시기별로 변화하며 이어지는 다단계 과정이다. 김치 발효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는 가스를 잘 발생시키는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이 많아 아삭한 식감과 청량한 향을 만든다.
중기 단계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가 우세해지며 산도가 높아지고, 후기에는 위스코니아(Weissella) 균이 나타나 발효를
마무리한다.
된장의 경우, 발효 초기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같은 곰팡이가 단백질을 분해하고, 이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가 이를 이용해 향과 점질물을 생성한다.
막걸리는 효모와 유산균이 공존하며 발효가 이루어지는데, 효모는 알코올을 만들고 유산균은 산미와 보존성을 강화한다. 이렇게
시기별·환경별로 변화하는 미생물 군집은 발효식품의 품질, 향, 영양 성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이용해 이 미생물 군집의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최적의 발효 조건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발효 미생물이 주는 건강 효능
전통 발효식품 속 미생물은 인체 건강에 다양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첫째, 유산균과 같은 프로바이오틱스는 장내 환경을 개선하고, 유해균 증식을 억제해 소화 기능을 향상시킨다.
둘째, 일부 미생물은 발효 과정에서 항산화물질, 폴리페놀, 유기산 등을 생성해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염증 반응을 완화한다.
예를 들어 청국장 속 바실러스균은 나토키나제(Nattokinase)를 생산해 혈전을 녹이는 작용을 하며, 혈액순환 개선과 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준다.
셋째, 발효식품은 면역 기능 강화에도 기여한다. 김치 속 유산균은 면역세포의 활성도를 높이고, 일부는 알레르기나 아토피 증상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비타민 B군, 필수 아미노산, 유기산은 영양 보충 효과가 뛰어나다. 최근 연구에서는 전통 발효식품의 특정 미생물이 비만 예방, 혈당 조절, 피부 건강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어, 발효식품의 가치는 단순한 식문화 유산을 넘어 ‘기능성 건강식품’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미래 발효식품 연구와 산업적 가치
전통 발효식품과 미생물 연구는 앞으로도 식품 과학과 바이오산업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할 것이다. 유전자 분석 기술과 미생물
배양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발효 과정에서 유익한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배양하거나 기능성을 강화한 맞춤형 발효식품 개발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특정 유산균 종을 첨가해 장 건강 개선 효과를 극대화한 김치, 나토키나제 함량을 높인 청국장 등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발효 미생물을 활용한 기능성 보조제, 피부용 화장품, 바이오 의약품 개발도 활발하다. 세계적으로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K-발효식품’은 수출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성을 지키면서 과학적 표준화를 병행해야 하며, 지역 특유의 발효법과 미생물 다양성을 보존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전통 발효식품의 가치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며, 미생물 연구는 그 가치를 과학적으로 뒷받침하는 핵심 도구가 될 것이다.
'발효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 발효식품의 미생물 다양성, 과학으로 밝히다 (0) | 2025.08.16 |
---|---|
발효식품 안 미생물이 하는 일과 몸에 좋은 효과 (0) | 2025.08.16 |
한국 전통 발효식품 속 대표 미생물 7가지는? (0) | 2025.08.15 |
김치·된장·청국장 속 유익균 연구 결과 정리 (0) | 2025.08.15 |
한국 전통 발효 식품 속 미생물의 비밀 (0) | 2025.08.14 |